청첩장 부고장 스미싱 대처 예방 방법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소중한 금융 생활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되고픈 블로그 지기입니다. ^^
요즘 봄기운 살랑이는 결혼 시즌이잖아요? 그런데 이 좋은 날, 마음을 어지럽히는 소식이 들려와서 걱정이 많으실 것 같아요. 바로 결혼식 청첩장이나 부고장으로 위장한 '스미싱' 문자가 부쩍 늘었다는 소식인데요! 정말이지 너무 교묘해서 깜빡 속기 쉽겠더라고요. 😥
소중한 지인의 경조사를 가장한 문자라니, 너무한 거 아닌가요?! 이런 문자 속 링크를 잘못 눌렀다가는 나도 모르는 사이에 악성 앱이 설치되고, 소중한 개인정보가 술술 새나가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해요. 오늘은 그래서! 이 지긋지긋한 청첩장, 부고장 스미싱의 실체와 피해 사례, 그리고 우리가 어떻게 대처하고 예방할 수 있을지 차근차근 알아볼게요.
요즘 기승인 청첩장/부고장 스미싱, 대체 뭐길래?
스미싱? 보이스피싱이랑은 다른 건가요?
가끔 스미싱이랑 보이스피싱을 헷갈려 하시는 분들이 계시더라고요. 간단히 설명해 드릴게요!
- 보이스피싱(Voice Phishing) 은 주로 전화(Voice)를 이용해요. 대출을 권유하거나 검찰, 경찰 같은 기관을 사칭해서 돈을 요구하는 방식이죠.
- 스미싱(Smishing) 은 문자 메시지(SMS)와 개인정보 낚시(Phishing)가 합쳐진 말이에요.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인터넷 주소(URL)를 눌러서 악성코드를 설치하거나, 가짜 사이트로 유도해서 개인정보를 빼가는 수법이랍니다.
최근 기승을 부리는 청첩장, 부고장 문자는 바로 이 스미싱 에 해당해요. 지인이나 가족인 척 문자를 보내서 의심 없이 링크를 누르게 만드는 거죠. 정말 교묘하지 않나요?!
문자 속 링크, 절대 함부로 누르지 마세요!
"결혼합니다. 축하해주세요!", "아버님께서 별세하셨습니다." 와 같은 문자 메시지와 함께 링크가 온다면? 일단 멈칫! 하고 의심부터 해봐야 해요.
이런 스미싱 문자 속 링크를 무심코 누르는 순간, 눈에 보이지 않는 악성 앱이나 악성코드가 내 스마트폰에 몰래 설치될 수 있어요. 그렇게 되면 내 폰은 사기범이 원격으로 조종할 수 있는 '좀비폰'이 되어버리는 거고요. 생각만 해도 끔찍하죠?
좀비폰이 되면 사기범은 내 개인정보를 훔쳐서 소액결제를 하거나, 금융 정보를 빼내 자산을 탈취할 수도 있어요. 더 무서운 건, 내 번호를 도용해서 내 지인들에게 또다시 스미싱 문자를 보내 2차, 3차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이에요.
얼마나 심각하길래? 늘어나는 피해 규모
"설마 내가 당하겠어?"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현실은 생각보다 심각합니다.
- 발생 건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따르면, 청첩장·부고장 등 지인을 사칭한 스미싱 문자는 2023년에만 약 6만 건이 탐지되었는데, 이전 해에 비해 무려 6배나 증가한 수치라고 해요.
- 피해액: 김종양 국회의원실이 경찰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스미싱 전체 피해액은 2020년 11억 원에서 2024년에는 546억 원으로 약 50배나 폭증했다고 하니, 정말 남의 일이 아니랍니다.
봄, 가을 결혼 시즌에는 "결혼", "청첩장" 키워드를 활용한 스미싱이 특히 많다고 하니 더욱 주의가 필요해요!
혹시 나도? 스미싱 대처법 알아보기
"어? 나도 비슷한 문자 받은 것 같은데..." 하는 생각이 드시나요? 혹은 이미 링크를 눌러버렸다면? 당황하지 마시고 이렇게 대처해 보세요!
의심스러운 문자, 어떻게 확인하죠? - '보호나라' 활용하기!
지인에게 청첩장이나 부고 문자를 받았는데, 평소 말투랑 좀 다른 것 같거나 뭔가 찜찜한 기분이 드나요? 그럴 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운영하는 '보호나라' 서비스를 이용해 보세요.
따로 웹사이트에 들어갈 필요 없이, 카카오톡에서 '보호나라' 채널을 친구 추가하고 채팅창에 의심스러운 문자 메시지 내용을 그대로 붙여넣기만 하면 스미싱인지 아닌지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답니다. 정말 편리하죠?
가장 확실한 방법: 보낸 사람에게 직접 확인!
가끔 스미싱 문자가 내 휴대폰에 저장된 지인의 이름으로 표시될 때도 있어요. 해킹 등으로 전화번호부 정보가 유출되었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인데요. 이럴 땐 정말 속기 쉽겠죠?
하지만 조금이라도 의심스럽다면, 절대 문자 속 링크는 누르지 마세요! 대신 그 지인에게 직접 전화를 걸거나, 카카오톡 같은 다른 메신저로 "혹시 청첩장/부고 문자 보냈어?" 하고 꼭!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가장 안전해요.
앗! 이미 링크를 눌러버렸다면? - 즉시 이렇게 조치하세요!
만약 실수로 링크를 눌렀거나 스미싱 피해가 의심된다면, 즉시 다음 조치들을 취해야 합니다.
- 번호 도용 문자 차단 서비스 신청: 사기범이 내 번호를 도용해 다른 사람에게 스미싱 문자를 보내는 것을 막기 위해, 이용 중인 통신사(SKT, KT, LGU+) 고객센터나 앱을 통해 '번호도용 문자차단 서비스'를 신청하세요. 대부분 무료 부가서비스로 제공된답니다. (단, 신청하면 본인도 웹사이트 등에서 문자를 대량 발송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어요!)
- 악성 앱/코드 검사 및 삭제:
- (안드로이드폰) '내 파일' 앱 > 'Download(다운로드)' 폴더에서 내가 설치한 적 없는 의심스러운 파일(.apk)이 있다면 즉시 삭제하고 휴지통까지 비워주세요. 그리고 'V3 Mobile Security', '알약M' 같은 모바일 백신 앱을 설치해서 전체 검사를 꼭! 실행해 주세요.
- (아이폰) 아이폰은 상대적으로 악성코드 감염 위험이 낮지만, '파일' 앱의 '다운로드' 폴더를 확인하여 의심스러운 파일이 있다면 삭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 Tip! KB스타뱅킹 앱(안드로이드)은 로그인 없이 앱을 실행하기만 해도 악성 앱 탐지 기능이 작동한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폐기 및 재발급: 악성 앱에 감염된 상태로 금융 거래를 했다면 인증서나 보안카드 정보가 유출되었을 수 있어요. 즉시 사용 중인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등을 폐기하고 안전한 기기에서 재발급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 주변에 알리고 경찰에 신고하기: 사기범이 내 연락처를 이용해 지인들에게 추가로 스미싱 문자를 보낼 수 있으니, 최대한 빨리 주변 사람들에게 피해 사실을 알리고 주의를 당부해야 해요. 그리고 즉시 경찰청(112)이나 '경찰청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대응센터'(1566-1188 또는 홈페이지)에 신고하여 피해 사실을 알리고 도움을 받으세요.
미리미리 조심! 스미싱 예방 습관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예방이겠죠? 평소에 이런 습관을 들여 스미싱 피해를 미리 막아보아요!
기본 중의 기본: 모르는 링크는 클릭 금지!
출처가 불분명하거나 조금이라도 의심스러운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인터넷 주소(URL)는 절대! 절대! 누르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해요. 특히 "[Web발신]", "[국제발신]" 등이 표시된 문자는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개인정보는 소중하니까요
아이디, 비밀번호, 주민등록번호, 보안카드 번호 등 중요한 개인정보는 신뢰할 수 있는 공식 웹사이트나 앱이 아니면 절대 입력하지 마세요.
금융사기 예방 서비스 활용하기
요즘 은행들은 다양한 금융사기 예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요. 예를 들어 KB국민은행에서는 해외 IP 차단 서비스, 이체 금액이나 시간에 제한을 두는 지연 이체 서비스, 본인이 지정한 기기에서만 이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단말기 지정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데요. 이런 서비스들을 미리 신청해두면 만일의 사태에 피해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답니다. 이용하는 은행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어떤 서비스가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주변 사람들과 정보 공유하기
나만 조심한다고 되는 게 아니죠! 이런 스미싱 수법과 예방법을 가족, 친구, 특히 스마트폰 사용에 익숙하지 않으신 부모님이나 어르신들께 꼭 알려주세요. 함께 정보를 나누고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정말 날로 교묘해지는 청첩장, 부고장 스미싱에 대해 알아봤어요. 기억하세요!
- 지인을 사칭한 문자라도 링크는 일단 의심!
- '보호나라'로 확인하거나, 직접 전화해서 재확인 필수!
- 혹시 눌렀다면 즉시 악성 앱 검사/삭제, 인증서 재발급, 신고!
조금만 더 신경 쓰고 주의를 기울이면, 소중한 내 정보와 자산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을 거예요. 우리 모두 똑똑하게 대처해서 스미싱 사기 없는 안전한 디지털 생활을 만들어가요!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미싱 문자 확인 대처 예방 보호나라 (0) | 2025.04.06 |
---|---|
대출 사기 보이스피싱 수법 및 예방법 (0) | 2025.04.06 |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앱 출시! 사용법, 혜택 총정리 (0) | 2025.03.22 |
착오송금 반환방법 돌려받는 절차와 지원제도 총정리 (0) | 2025.03.22 |
근로장려금 자동신청, 모든 연령 확대! 신청방법 및 확인 (0) | 2025.03.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