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 꿀팁 모음

13~24개월 아기 수유, 이유식, 식습관 완벽 가이드

by 빛결샘숲맘 2025. 1. 1.
728x90
반응형

13~24개월 아기 수유, 이유식, 식습관 완벽 가이드

 

아장아장 걷기 시작하는 13개월부터 호기심 가득한 눈으로 세상을 탐색하는 24개월까지!

폭풍 성장하는 우리 아기, 맘마는 잘 먹고 있을까요? 🤔

수유는 어떻게 해야 할지, 이유식은 뭘 만들어 줘야 할지, 편식하는 아기 식습관은 어떻게 잡아줘야 할지…

엄마 아빠들의 고민은 끝이 없죠? 😥

이 글에서는 13~24개월 아기의 월령별 수유, 이유식, 식습관 완벽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자, 그럼 시작해 볼까요? ✨

1. 엄마 쭈쭈, 언제까지 먹여야 할까요? (모유 수유)

세계보건기구(WHO)는 두 돌까지 모유 수유를 권장합니다. 모유는 아기에게 최고의 영양 폭탄이니까요! 💪

하지만 엄마의 상황에 따라 중단해야 할 수도 있죠.

그럴 땐 아기가 스스로 젖을 떼도록 유도하는 것이 정서적 안정에 좋습니다. 😊 억지로 떼려 하면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거든요.😥

모유 수유 중단, 어떻게 해야 할까요?

7~8개월쯤부터 컵으로 마시는 연습을 시켜보는 건 어떨까요? 🍼

아기의 성장 속도에 맞춰 모유 대신 분유나 생우유(12개월 이후)를 줘도 좋습니다. 😊

단, 갑자기 중단하면 유방 울혈이 생길 수 있어요! 부드러운 마사지와 냉찜질이 도움이 됩니다. 😉

엿기름물이나 식혜도 좋다는 어른들 말씀, 틀리지 않았어요! 힘들 땐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도 잊지 마세요! 💖

2. 분유는 얼마나 먹여야 할까요? (분유 수유)

12~15개월은 이유 완료기! 분유 수유량은 하루 400~600cc 정도가 적당합니다.

이유식에서 유아식으로 넘어가는 중요한 시기인 만큼, 즐거운 식사 시간을 만들어주는 게 중요해요! 😄

이유식은 하루 세 번, 120~180g씩, 간식은 두 번 정도가 적당합니다.

모유나 분유는 하루 2~3회, 오전과 오후에 나눠 주세요. 🍼

쌀, 찹쌀, 감자, 고구마, 쇠고기, 닭고기, 흰살생선, 채소, 과일 등 다양한 재료를 0.7~1cm 크기로 썰어 이유식을 만들어 주세요! 🥕🥦🍎

밥 가지고 장난치거나 딴짓하면? 단호하게 상 치우기!

3. 13~24개월 아기, 밥상머리 교육 어떻게 할까요? (식습관)

이 시기 아기들은 자기주장이 폭발하면서 밥 먹다 떼쓰거나, 편식이 심해지는 경우가 많아요. 😫

음식 모양이나 맛을 바꿔보고, 예쁜 그릇에 담아주는 것도 방법입니다!

밥 가지고 장난치거나 딴짓하면? 단호하게 상 치우기! 🙅‍♀️ 배고프면 알아서 먹을 거예요! 😉

억지로 먹이면 밥 먹는 시간이 스트레스가 될 수 있어요.

숟가락질 연습, 어떻게 시켜야 할까요?

처음엔 서툴러서 흘리고 묻히는 게 당연해요!

식탁보에 비닐 깔고, 아기에게 턱받이를 해주면 마음 편히 연습할 수 있겠죠? 👍

밥 먹는 시간은 30~40분으로 제한하고, 40분 넘으면 음식을 치우는 게 좋습니다.

밥 먹는 시간과 노는 시간을 구분해 줘야 좋은 식습관이 잡혀요! 😊

4. 밥 안 먹는 아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식욕 저하)

아기가 밥을 안 먹으면 속상하죠? 😭 식욕 저하는 여러 원인이 있어요.

건강 문제, 독립심 발달로 인한 반항, 다른 아이 따라 하기, 잘못된 식습관, 질투나 긴장감 등 심리적인 요인도 있고요.

24개월쯤 되면 말하기와 놀이에 푹 빠져 밥 먹는 것도 잊어버려요! 😄

필요한 영양분과 열량만 충분하면 너무 걱정 마세요! 😊 오히려 살이 빠지는 경우가 많거든요.

친구들을 초대해서 함께 먹게 하는 것도 좋은 방법! 🤗

식욕 저하는 여러 원인이 있어요.

5. 월령별 이유식, 뭘 만들어 줘야 할까요? (이유식 레시피)

  • 13~15개월: 곡류는 2배죽 정도의 농도, 채소/과일/고기/생선은 0.7~1cm 크기로 다져주세요. 쇠고기 미역 진밥, 닭고기 야채죽, 두부 시금치 무른밥 등 다양한 재료를 활용해 보세요!
  • 16~18개월: 곡류는 3배죽, 재료는 1cm 크기로 썰어주세요. 새우 브로콜리 볶음밥, 소고기 감자 조림, 연어 구이 등을 밥과 함께 줘도 좋아요. 아기가 스스로 먹을 수 있도록 한입 크기로 만들어 주는 센스! 😉
  • 19~24개월: 밥과 반찬을 따로 주기 시작해도 됩니다! 어른 반찬 간을 약하게 해서 주거나, 아기 전용 간장/된장을 활용해 보세요. 카레, 짜장, 미역국 등 다양한 메뉴에 도전해 볼 수 있어요. 단, 짜거나 매운 음식은 NO!🙅‍♀️ 아직 소화기관이 약하니까요.

6. 씹는 연습, 왜 중요할까요?

씹는 운동은 두뇌 발달과 변비 예방에 중요해요!

아삭아삭한 채소 스틱(당근, 오이, 애호박 등)이나 과일(사과, 배, 바나나 등)을 간식으로 주면 씹는 연습도 되고, 영양도 챙길 수 있답니다!

단단한 음식을 씹으면 턱 근육도 발달하고, 소화도 잘 된다는 사실! 👍

7. 도움이 필요할 땐 어디로 연락해야 할까요? (지원 기관)

  • 아이사랑 헬프데스크: 1566-3232 (단축번호 1번) - 임신, 출산, 육아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어요!
  • 임신·출산·육아 상담: 1644-7373 - 전문가 선생님과 상담할 수 있어요!
  • 대한모유수유의사회, 마더세이프: 온라인에서 모유 수유 및 젖 떼기 정보를 찾아볼 수 있어요!

자, 이제 13~24개월 아기 수유, 이유식, 식습관 완벽 정복! 💪

모든 아이는 다르게 성장하니, 우리 아기에게 맞춰 유연하게 대처하는 게 중요해요!

정보도 얻고, 다른 부모님들과 소통하며 함께 육아해 보아요! 💖 아자아자! 파이팅!! 💕

 

2024.11.20 - [육아 꿀팁 모음] - 알레르기 검사 어떤걸로 할까요? 나에게 딱 맞는 검사법도 알아보고, 알레르기 관리 방법도 알아보아요

 

알레르기 검사 어떤걸로 할까요? 나에게 딱 맞는 검사법도 알아보고, 알레르기 관리 방법도 알아

알레르기 검사를 결심 하셨나요? 그런데 여러 검사법 중 어떤 것이 좋을지 잘 모르시겠죠?여기 팁!을 드릴께요. 나에게 딱! 맞는 알레르기 검사는?검사 종류방법장점단점혈액검사 (특이 IgE 검사

isaiah81.je-shurun.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