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의 안전과 행복은 모든 부모의 최우선 관심사죠?
특히, 왕성한 호기심과 활동량을 자랑하는 25~36개월 아이들은 안전사고에 노출되기 쉬워 늘 걱정이에요.😥
이 시기, 적절한 안전 교육과 행동 지도는 우리 아이들이 건강하게 성장하는데 꼭 필요한 밑거름이 된답니다.
자, 그럼 25~36개월 아이들의 안전사고 예방법과 효과적인 행동 지도 꿀팁들을 A to Z까지 낱낱이 파헤쳐 볼까요?
1. "위험해!"는 이제 그만! 일상생활 속 안전사고 예방!
1-1. 낙상
25~36개월 아이들은 대근육 발달이 눈부시게 진행되는 시기라 끊임없이 움직이고 탐험하려는 욕구가 강해요. 하지만 아직 위험에 대한 인지가 부족하기 때문에 낙상 사고가 발생하기 쉬워요.
계단, 창문, 가구 등 아이들이 올라가거나 떨어질 수 있는 곳에는 안전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필수!
계단에는 안전문을 설치하고, 창문에는 방범창을 달아주세요! 베란다나 옥상 출입문은 잠금장치를 꼭 확인해야 해요.
아이가 올라가기 좋아하는 가구 주변에는 쿠션이나 매트를 깔아 혹시 모를 추락 사고에 대비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추락 높이 1m에서도 심각한 부상을 입을 수 있다는 사실, 잊지 마세요!
1-2. 화상
호기심 많은 우리 아이들, 뜨거운 물건에도 손을 뻗기 쉬워요. 특히 싱크대, 식탁, 다리미, 전기포트 등은 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해요!
조리 중에는 아이를 부엌에 출입시키지 않는 것이 가장 좋고, 뜨거운 음식이나 액체는 아이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두어야 해요. 콘센트는 안전 커버를 씌워 감전 사고를 예방하고, 뜨거운 물건을 만졌을 때의 위험성을 아이에게 반복적으로 알려주는 것도 중요해요. 만약 화상을 입었다면?
흐르는 찬물에 화상 부위를 15~20분 정도 식혀주고, 즉시 병원에 가는 것이 최선이에요! 절대 민간요법을 사용하거나 수포를 터뜨리면 안 돼요!🙅♀️
1-3. 중독
알록달록한 약이나 세제는 아이들의 눈에 마치 사탕처럼 보일 수 있어요.
세제, 약품, 화장품, 살충제 등은 아이 손이 닿지 않는 높은 곳이나 잠금장치가 있는 수납장에 보관해야 해요.
특히 버튼형 리튬 전지는 아이가 삼켰을 경우 식도나 위에 화학적 화상을 일으킬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해요.
만약 아이가 유해 물질을 삼켰다면? 억지로 토하게 하지 말고, 119에 신고하거나 응급실로 바로 가야 해요! 삼킨 물질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려주는 것도 응급처치에 큰 도움이 된답니다.
1-4. 자동차 안전
카시트는 아이의 생명을 지키는 최고의 안전장치! 아이의 키와 몸무게에 맞는 카시트를 선택하고, 올바르게 장착하는 것이 중요해요. 교통사고 발생 시 카시트를 착용하지 않은 아이는 사망률이 8배나 높아진다는 충격적인 통계도 있어요.
또한, 절대로 아이를 차 안에 혼자 두면 안 돼요!
특히 여름철에는 밀폐된 차 안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해서 질식이나 열사병으로 이어질 수 있답니다. 햇빛이 강한 날에는 잠깐이라도 아이를 차 안에 혼자 두는 것은 절대 금물!
주차장에서는 아이의 손을 꼭 잡고 차의 사각지대를 주의하며 이동해야 해요.
2. "싫어! 안 해!" 투정쟁이 탈출! 행동 지도 노하우!
2-1. 명확한 규칙과 일관성
떼쓰기와 고집은 2~3세 아이들의 자연스러운 발달 과정 중 하나예요. 하지만 이 시기에 적절한 행동 지도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아이의 사회성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아이가 이해하기 쉬운 간단하고 명확한 규칙을 정하고, 일관성 있게 적용하는 것이 중요해요.
"장난감은 정리해야 해", "다른 사람을 때리면 안 돼"와 같이 구체적인 행동 지침을 알려주세요. 규칙을 어겼을 때는 단호하게 "안 돼!"라고 말하고, 왜 안 되는지 간단하게 설명해 주세요.
하지만 규칙을 잘 지켰을 때는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말아야 해요! 긍정적인 강화는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고, 규칙을 자발적으로 지키도록 동기부여를 해준답니다.
2-2. 선택권 주기: 자율성 존중
아이에게 모든 것을 강요하기보다는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자율성 발달에 도움이 돼요.
"빨간 옷 입을래? 파란 옷 입을래?"처럼 두 가지 선택지를 주고 아이가 스스로 결정하도록 유도해 보세요.
스스로 선택했다는 성취감은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고, 협조적인 태도를 기르는 데 도움이 된답니다.
물론, 선택지는 부모가 미리 설정한 범위 내에서 제공되어야겠죠? 😉
2-3. 공감과 소통: 감정 코칭의 시작
아이가 떼를 쓰거나 울 때는 아이의 감정을 먼저 이해하고 공감해 주는 것이 중요해요.
"속상했구나~", "화가 났구나~"처럼 아이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해 주면 아이는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조절하는 법을 배울 수 있어요.
아이가 진정되면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 차분하게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아이의 마음을 진심으로 이해하고 지지해 주는 부모의 모습은 아이에게 큰 안정감을 선물한답니다.
2-4. 훈육의 기본 원칙: 긍정적 강화와 일관성
훈육은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바로잡는 것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주는 과정이에요. 아이에게 명확한 행동 지침을 제시하고, 일관성 있는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효과적인 훈육의 핵심!
아이의 긍정적인 행동을 칭찬하고 격려하는 긍정적 강화는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고 바람직한 행동을 지속하도록 동기를 부여해요.
반대로 아이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안 돼!"라고 말하고, 왜 안 되는지 간단하고 명확하게 설명해 주세요.
아이가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되돌아보고 반성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해요.
훈육은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꾸준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과정이라는 것을 잊지 마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FshcUq7tV7Y&list=PLKDPDirFfxZT6dMKDEPtG9b-FT-6SzgAd&pp=iAQB
3. 정보는 힘! 관련 기관 활용하기!
3-1. 아이사랑 포털
아이사랑 포털(www.childcare.go.kr)은 보건복지부에서 운영하는 임신, 출산, 육아 정보 포털사이트예요. 월령별 성장 발달 정보, 안전사고 예방법, 행동 지도, 어린이집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한곳에서 확인할 수 있답니다. 아이사랑 헬프데스크(1566-3232)를 통해 전문가의 상담도 받을 수 있어요. 다양한 언어(영어, 중국어, 베트남어)로도 정보가 제공되니 다문화 가정에도 유용한 정보 플랫폼이에요.
3-2. 육아종합지원센터
전국에 있는 육아종합지원센터는 부모들에게 양질의 육아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에요. 부모 교육, 놀이 프로그램, 장난감 대여, 시간제 보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어요. 필요한 정보나 도움을 받고 싶다면 가까운 육아종합지원센터를 방문해 보세요! 😊
3-3. 한국소비자원
한국소비자원(www.kca.go.kr)에서는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 정보와 교육 자료를 제공하고 있어요. 어린이 안전 관련 제품에 대한 정보와 안전사고 발생 시 대처 방법 등을 확인할 수 있답니다. 또한, 소비자 상담 센터(1372)를 통해 제품 관련 불만이나 피해 구제 신청도 할 수 있어요.
자, 이제 25~36개월 아이 키우기, 조금은 자신감이 생기셨나요? 안전사고 예방과 행동 지도,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차근차근 실천해 나가면 우리 아이는 더욱 건강하고 행복하게 자랄 수 있을 거예요! 🥰 육아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지만, 아이의 밝은 미소와 건강한 성장을 보면서 힘든 시간을 이겨낼 수 있는 힘을 얻는 것 같아요. 모든 부모님들, 오늘도 수고 많으셨어요! 우리 모두 힘내서 행복한 육아 생활을 만들어 가요! 🥳🤩
[육아 꿀팁 모음] - 13~24개월 아기 안전사고 예방 가이드 집 안팎 안전 수칙
13~24개월 아기 안전사고 예방 가이드 집 안팎 안전 수칙
우리 아기 콩알만큼 소중하죠? 💖 13~24개월, 아장아장 걷던 아기가 어느새 뛰어다니는 개구쟁이가 되었어요! 🤸♀️하지만 호기심 많고, “안 돼!” 소리는 절대 안 듣는 시기이기도 하죠?
isaiah81.je-shurun.com
'육아 꿀팁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36개월 아기 발달, 건강, 육아 팁 총정리 (0) | 2025.01.05 |
---|---|
25~36개월 아기 발달, 수면, 배변, 식습관 완벽 가이드 (1) | 2025.01.04 |
25~36개월 아기 발달 특징 및 놀이 방법 (언어, 인지, 운동) (1) | 2025.01.03 |
13~24개월 아기 발달, 놀이, 교육, 어린이집 정보 완벽 가이드 (1) | 2025.01.02 |
13~24개월 아기 발달, 건강, 육아 완벽 가이드 (1) | 2025.01.02 |
댓글